1) 왜 72시간 분량이 기준인가? (상황·목표 정의)
- 대형 재난(지진, 홍수, 태풍, 폭설, 대정전) 직후 최소 72시간은 구조·복구·보급 체계가 정상화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정부·구호기관은 가족 구성원별 3일치 물·식량을 표준으로 권고합니다. 특히 **물은 1인 1일 1갤런(약 3.8L)**을 기본으로 잡으면 음용·간단한 위생까지 커버가 가능합니다. ready.gov+1
- **가정 대피 없이 자택 대기(Shelter-in-place)**가 가능하다면 이상적으로는 2주분까지 비축하면 더 안전합니다(적십자 권고). 단, 작은 집이라면 72시간을 표준으로 하고 점진 증설이 현실적입니다. 대한적십자사
2) 수량 계산 공식(간편 공식과 예시)
물(최소치)
- 공식: 인원 × 일수 × 3.8L
- 예시(1인·3일): 3.8L × 3 = 11.4L
- 예시(2인·3일): 3.8L × 6 = 22.8L
※ 더위·임신·수유·질병·격한 활동·반려동물 동반 시 추가 필요. ready.gov질병통제예방센터
식량(대략치)
- 에너지 목표: 성인 1인 약 2,000 kcal/일(활동·체격별 조절)
- 공식: 인원 × 일수 × 2,000 kcal
- 예시(2인·3일): 12,000 kcal(= 일 평균 4,000 kcal) → 고열량·저부피 품목(통조림 단백질, 견과·너트버터, 즉석밥·파스타, 에너지바)로 구성
3) 작은 집을 위한 3구역 보관 설계(손이 닿는 곳/벌크/대피)
- 구역 A—즉시 접근 존(주방 싱크·식탁 하부·찬장 하단)
- 72시간에 쓸 1일치 × 1~2세트를 “데일리 회전용”으로 배치(시리얼·바·즉석밥·통조림·UHT 우유).
- 개봉·소비가 쉬운 단품 포장 위주.
- 구역 B—벌크 스토리지(침대 밑 박스·상부장·문 안쪽 선반)
- 같은 품목을 카테고리별 상자에 모아 보관(탄수/단백/지방/간식/음료).
- **라벨(품목·수량·유통기한·교체월)**로 표준화.
- 구역 C—대피 가방(현관 옆·문 뒤 걸이)
- 경량·고칼로리 비상식량(바·너트버터·레토르트·물 파우치)을 72시간치로 소형 팩킹.
- 가족·반려동물별 개별 Go Bag 권장. 사이버 안전센터
팁: 침수·화재로 특정 구역을 잃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2~3곳 분산 보관이 안전합니다(국내외 방재 지침 공통 실무 팁). ready.gov
4) 표준 72시간 식량 패키지(1인 기준 예시, 총 약 6~7kg)
- 탄수(총 6,000~6,500 kcal): 즉석밥 6팩, 파스타 500g, 그래놀라 600g, 크래커 2통
- 단백(총 2,500~3,000 kcal): 참치·닭가슴살 캔 6개, 콩 캔 2개, jerky 2팩
- 지방·간식(총 2,500~3,000 kcal): 땅콩버터 500g, 믹스넛 600g, 에너지바 6~9개, 건조과일 2팩
- 음료·기타: UHT 우유 소팩 3
6, 전해질 파우더 36, 설탕·소금 소포장 - 보조도구: 수동 깡통따개, 일회용 수저·그릇, 지퍼백·쓰레기봉투, 소형 물티슈
※ 불·전기 없이 섭취 가능한 것을 우선, 파스타·즉석밥은 휴대 버너 있을 때 사용.
5) 메뉴 예시(불 없이도 가능)—1인 3일
- D1 아침: 그래놀라+UHT 우유 / 점심: 참치캔+크래커 / 간식: 에너지바 / 저녁: 닭가슴살캔+즉석밥
- D2 아침: 시리얼+UHT / 점심: 콩캔+크래커 / 간식: 믹스넛 / 저녁: 레토르트 죽/스프+즉석밥
- D3 아침: 건과일+바 / 점심: 참치마요(참치캔+소량 마요)+즉석밥 / 간식: 에너지바 / 저녁: 닭가슴살캔+크래커
6) 품목 선정 기준
- 보관 안정성: 통조림·레토르트·UHT·건조식(밀봉·차광·저온 보관)
- 영양 균형: 탄수(즉석밥·곡물), 단백(통조림 육류·콩), 지방(너트·너트버터), 미량영양소(건과·비타민)
- 간편성: 개별 포션·수동 개봉·바로 섭취 가능
- 알레르기·질환 맞춤: 저당·저염·무글루텐 등 가구 특성 반영
- 특수 대상: 영유아(분유·이유식, 안전한 물로 조제), 고령자(부드러운 식감), 반려동물(사료·물·간식 별도)
7) 보관 컨디션(온도·습도·차광·방충)
- 서늘·건조·어두움이 원칙. 직사광선·가열기구 인접은 금지.
- 방충·설치류 차단을 위해 두꺼운 밀폐 컨테이너 사용, 바닥 직치 대신 선반·팔레트 위.
- 진공 포장·산소흡수제(제조사 권장 범위)로 건조식 부피·산패 리스크를 낮춤.
- 문 안쪽·상부장·침대 밑 등 수직·은폐 공간 적극 활용(도어 포켓, 얇은 슬림 박스).
8) 라벨링·인벤토리 체계(작아도 체계적으로)
- 라벨 4요소: 품목/수량/유통기한/교체월.
- 색상 규칙: 빨강=이번 분기 교체, 노랑=다음 분기, 초록=여유.
- 인벤토리 카드(또는 스프레드시트): 입고일·소비일·보충일 기록(휴대폰 메모·QR 코드도 활용).
- **FIFO(선입선출)**로 유통기한 임박품은 평상시 식단으로 소비 후 즉시 재보충. ready.gov
9) 회전 보관 루틴(월·분기)—작아도 굴러가게
- 월간(간이 점검): 물 ·바·견과류 수량 확인 → 모자라면 바로 보충.
- 분기(정식 점검): 전 품목 유통기한·포장 상태·부패·팽창 캔 여부 확인, 체크리스트로 기록 후 교체.
- 권장 기준: 자가 저장한 물은 6개월 주기 교체, 시판 생수는 밀봉·음영 보관 시 장기 보관 가능(제조사 표시 준수). 질병통제예방센터
10) 정전·단수 대응의 식품 안전
- 냉장고는 정전 4시간까진 문을 닫아두면 비교적 안전하나, 그 이후의 육류·유제품·조리 leftovers는 폐기. 냉동고는 가득 찼을 때 더 오래 유지되지만, 내부 온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. FoodSafety.govU.S. Food and Drug AdministrationUSDA FSIS
- 물이 의심스러우면 끓이기(대개 1분 이상) 또는 표백제 소독: 예를 들어 6% 차아염소산나트륨 표백제는 1갤런(3.8L)당 8방울, 8.25%는 6방울. 혼탁할수록 용량을 2배로. 혼합 후 30분 이상 두고 소독합니다. US EPA질병통제예방센터
11) 작은 공간 특화: 초압축 팩킹 팁
- 평면화: 레토르트·파우치 제품은 서랍형 박스에 눕혀 파일처럼 꽂기.
- 소분: 견과·건과는 1일분 지퍼백으로 소분 → 대피가방으로 바로 전용 가능.
- 중량 균형: 무거운 캔식은 바닥 가까이, 가벼운 바·시리얼은 상단.
- 소음·열 배출 고려: 냉장고 뒤·보일러실·전자제품 위·가열기구 주변은 제외.
12) 특수 품목 가이드
- 캔식품: 찌그러짐·팽창·누액·부식 흔적이면 즉시 폐기. 수동 오프너 동봉.
- UHT·레토르트: 실온 보관, 개봉 후 즉시 섭취.
- 분유·영아식: 반드시 안전한 물로 조제(소독수·생수), 사용 기구도 소독. 보틀 워머 대신 체온 정도로 보온. 질병통제예방센터
- 영양 보충제: 식이 제한·노약자·질환자 맞춤(의사·약사 상담 권장).
- 반려동물: 사료·간식·휴대 물그릇·간단 처방약(있다면) 별도 3일분. 대한적십자사
13) 1~2인 가구 예시 패킹 리스트(3일치)
총 부피 약 35~45L 박스 1개 + 대피가방 1개
- 생수 2L×6병 + 물 파우치 125mL×6
- 즉석밥 6, 시리얼 2봉, 그래놀라바 10, 믹스넛 600g, 땅콩버터 500g
- 참치캔 4, 닭가슴살캔 2, 콩캔 2, 레토르트 죽·수프 3
- 건과일 2, 크래커 2통, 전해질 파우더 6포
- 수동 오프너, 일회용 수저·그릇, 지퍼백·쓰레기봉투, 물티슈, 소형 조리칼
- (있으면) 소형 휴대버너·연료, 방열패드—사용 시 환기·CO 경보 필수
14) 월 1만~2만원으로 축적하는 예산 플랜(초소형 집용)
- 1주차: 생수 2L×6, 그래놀라바 묶음
- 2주차: 참치·닭가슴살 캔 4~6
- 3주차: 즉석밥 6, 크래커·건과
- 4주차: 너트버터·콩캔·UHT 우유
→ 4주면 72시간분 완성, 다음 달엔 교체·보충 중심으로 순환
15) 점검·교체 체크리스트(복붙 사용)
- 물: 밀봉·혼탁·이물·취 여부 / 자가 저장분 6개월 교체 질병통제예방센터
- 캔: 찌그러짐·팽창·누액·부식(하나라도 있으면 폐기)
- 레토르트·UHT: 봉합부 손상·팽창 / 제조사 유통기한
- 건조식·바: 곰팡이·이취·산패(견과·오일류 특히 주의)
- 라벨: 교체월·유통기한 재기입, 색상 스티커 업데이트
- 인벤토리: 사용분 보충, FIFO 규칙 유지 ready.gov
- 대피가방: 계절품(보온의류·냉방용품)·개인약·반려동물 키트 갱신 사이버 안전센터
16) 정리: 작아도 ‘체계’가 공간을 이긴다
- 기준: 72시간·물 3.8L/인/일 → 가구 맞춤으로 조정. ready.gov
- 설계: 3구역(즉시 접근/벌크/대피) + 분산 보관. 사이버 안전센터
- 운영: 라벨+인벤토리+FIFO로 분기 점검. ready.gov
- 안전: 정전 시 식품 안전·단수 시 수질 소독(끓이기/표백제) 원칙 준수. U.S. Food and Drug AdministrationUS EPA
이렇게 꾸리면 원룸·소형 아파트에서도 부피·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영양·위생·안전을 모두 확보할 수 있습니다.
참고한 주요 가이드(발췌)
- Ready.gov(미국 DHS/FEMA): 비상키트·물 1갤런/인/일 권고, 키트 구성 항목. ready.gov+1
- American Red Cross: 3일 대피·2주 자택 권장, Go Bag 구성. 대한적십자사
- CDC/EPA: 긴급 식수 소독(표백제 용량), 자가 저장 물 6개월 교체 가이드. 질병통제예방센터US EPA
- USDA/FSIS·FDA: 정전 시 식품 안전, 냉장·냉동 보존 시간 원칙. USDA FSISFoodSafety.govU.S. Food and Drug Administration
- 국민재난안전포털(행안부): 비상용 백(Go Bag) 준비 지침. 사이버 안전센터모바일 정부
'재난 대비 정리 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난 대비 침수 피해 방지용 필수품 정리와 방수 보관 전략 (2) | 2025.08.17 |
---|---|
재난 대비 생존 필터·정수기 보관과 위생 관리법 (2) | 2025.08.16 |
재난 대비 정전용 휴대 조명·랜턴 정리와 충전 관리 전략 (1) | 2025.08.15 |
재난 시 빠르게 꺼낼 수 있는 비상 가방 정리 팁 (2) | 2025.08.14 |
재난 대비 응급약품 보관과 주기적 점검 방법 (0) | 2025.08.13 |